방문을 환영합니다.
7일동안 안보기
단일배너
조회 수 884 추천 수 0 댓글 0

슈타이너 세번째 이야기

 

미량원소

 

 

1564A5354EB0C584160871

 

116DCF354EB0C66A15FC73

 

1924년 루돌프 슈타이너는 농업강좌를 통해 공기 중에 그리고 그 밖에 퍼져있는 미량원소가 식물을 건강하게 성장시킨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미량원소는 식물의 뿌리 보다 식물의 잎이나 그 밖의 기관을 통해 더 잘 흡수됩니다.

 

1930년대 초반, 과학자들은 스팩트럼 분석을 통해 모든 미량원소들이 1:1,000,000에서 1:100,000,000의 비율로 공기중에 퍼져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미 1924년 슈타이너는 자신의 강좌를 통해 말한 바가 있지요.

 

현대의 농부들은 국가를 막론하고 이러한 미량원소를 물에 희석해 식물에 엽면시비(잎이나 가지에 분무기로 뿌려줌)합니. 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지요. 식물은 뿌리보다 잎을 통해 미량원소들을 더 잘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오렌지 나무의 경우, 100,000,000:1의 아연 함유량에 따라 건강한 오렌지가 열리고열리지 않고가 결정된다고 합니다.아연은 식물의 성장과 풍성한 수확에 필수요소이지요그러나 극도로 희석된 상태여야 합니다.

 

19640B3B4EB0C687265EB9

소뿔 예비제입니다.


 

슈타이너의 소뿔 예비제 안에는 수연(몰리브덴), 코발트아연 뿐만 아니라 그 밖에 여러가지 미량원소가 들어있습니다.

미량원소와 땅의 관계를 살펴보면식물에 들어 있는 영양소는 계절에 따라 하루를 통해서도 달라집니다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이 차이는 때로는 좋은 땅과 나쁜 땅의 차이보다 클 때도 있습니다시간에 따라 식물의 영양소가 달라진다는 말은 지구가 행성계 안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느냐에 달려있으며, 결국 우주적 요인이 식물의 성장을 좌우한다는 말입니다.

 

우주의 기운과 식물의 성장

 

식물과 마찬가지로 동물도(내분비물호르몬우주의 영향에 따라 그 생리현상이 달리 나타납니다인간의 경우달의 주기에 따라 여성의 생리현상이 나타나고 바닷가 생물도 달의 주기에 따라 생리현상이 달리 나타나지요.

115E7E3B4EB0C5A4277D02

슈타이너의 동료인 괴테아눔 연구소의 요하임 슐츠(Joahim Schulz)는 빛이 아침과 저녁에는 식물을 성장시키고한낮과 한밤 중에는 성장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이것은 식물의 질소 함유량과 직결 되는데아침과 저녁에는 식물의 질소 함유량이 많아지고 한낮과 한밤 중에는 질소 함유량이 떨어진다는 말입니다곧 빛과 온기와 해다른 빛의 원천들이 식물로 하여금 다른 원소를 갖게 한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천체 자리와 식물의 연관성

 

 

 


 

"특정한 식물과 천체의 자리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다소 믿기 어려운 슈타이너의 말은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제자 테오팍수스 시대에서 시작해 알베루투스 마그누스 시대를 지나중세 후기 흔적론에 이르기까지, 한편으로는 소수의 사람에게만 전해 내려온 전통에 따라,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본능으로 이미 정신 세계의 비밀을 엿 볼수 있었던 관계로 특정한 식물 종류와 특정한 천체 자리가 서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 부분은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입니다. 한 마디로 말하자면 목성은 벼에 영향을 미치고, 금성은 보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식의 말입니다. 허나 실제로 우리나라의 오래된 농부들은 논가에 대나무를 꽃아두거나 버드나무를 심기도 했습니다. 어쩌면 우리조상들은 이미 "벼과인 대나무를 논가에 꽃아두면 목성의 기운을 더 잘 받아 들인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지도 모르지요. 

 

 

1931E3384EB0C5C2215A79

몇 해 전 제 논가에 세워 둔 대나무 입니다. 대나무는 벼과의 식물로, 목성의 기운을 받는 벼를 대나무를 이용해 목성의 기운을 증폭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결국 천체의 주기가 내분비선이나 신진대사 때 이루어지는 생리작용에그리고 식물즙의 흐름이나 밀도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식물의 즙이 종이필터의 모세관을 통해 올라와 이루는 형태를 연구하거나(Lili Kolisko), 즙이 응고될 때 이루는 결정 형태를 연구하여(Pfeiffer, Kruger, Bessennich, Selawry) 우주에서 오는 기운이 어떻게 식물에 작용하는지 볼수 있습니다. 즙이 응고되면서 가지는 모양은 식물의 조형(식물의 외형)을 밝히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식물의 모양이 제 가가 다른 이유는 즙이 응고되는 결정이 다르기 때문이고, 즙의 응고에 천체의 영향이 크 다는 것이죠.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서양의 식물에 대한 통찰과 직관이 물론 동양의 그것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들이 식물을 바라보는 관점이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오랜 세월간 쌓여온 그들의 식물에 대한 통찰...

 

 논과 밭 우리가 사는 세상에도

건강과 평화!

 
?